본문 바로가기

Study/Summary

네트워크 기초 1

반응형

네트워크란?

: 컴퓨터들이 통신망을 통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체계를 말한다. N/W라고도 쓴다. 네트워크를 이용해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, 웹 사이트 열람, 메일 송/수신 등이 가능해진다.

  • 인터넷은 네트워크 종류 중의 하나로,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 까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.

패킷
  • 데이터 교환방식 中
  •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의 규칙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한다.
  • 큰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서 보낸다.
    •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대역폭(bandwidth)를 점유해서 패킷의 흐름을 막기 때문이다.
  • 전송은 순서대로 되지않고, 원래의 데이터로 돌리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, 번호를 붙여서 보낸다. → 정렬 후 원래 위치로 돌아감

디지털 데이터 (Digital data)
  • 최소단위 : 비트(bit)
    • 8bit = 1byte
  •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
    • 문자코드(character code) : ex) 아스키 코드
    • 문자에 대응하는 코드(숫자)를 패킷으로 나누어서 보내면, 패킷을 원래 값으로 되돌릴 수 있다.
    • 문자 → 대응코드 → 네트워크 전송 → 원래값으로 변환
    • 비트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네트워크에 전기 신호가 전송되고 있음.
  • 0과 1의 집합

네트워크 범위
  • 랜 (근거리 통신)
    •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 등을 연결 할 수 있는 네트워크
    •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, ISP 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
    • 즉 랜과 랜을 연결하여 멀리 있는 사무실의 네트워크와 연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    • ISP는 KT와 같은 통신회사라고 보면 된다.

예) 가정

  • ISP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가 ‘인터넷 공유기'이다. 인터넷 공유기가 왠과 랜의 연결을 도와준다.
  • 유선랜 또는 무선랜 으로 연결할 수 있다.

예) 회사

  • DMZ : 외부에 웹 서버, 메일 서버, DNS 서버를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 영역 → 공개 서버
    • 회사에서 구성하는 랜에는 다양한 서버가 사용되고 있다.
  •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, 데이터 센터 혹은 클라우드에 둘 수 있다.
    • 온프레미스(on-premise) :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.

서버

: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이다. 반대로 서버에서 보내 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는 측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라고 한다.

반응형